호리에 미츠코는 1969년 데뷔하여 '애니송의 여왕'으로 불리는 일본의 가수이자 성우이다.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애니송 사천왕'으로 꼽히며, '캔디 캔디', '개구리 왕눈이' 등 다수의 대표곡을 불렀다. 1978년부터 성우 활동을 시작하여 '마법소녀 라라벨', '비밀의 앗코짱' 등 주연을 맡았으며, '사랑 소녀 폴리아나 이야기', '나의 키다리 아저씨' 등 세계명작극장 시리즈에도 참여했다. 또한, 배우, 라디오 DJ로도 활동하며, 해외에서도 '볼테스 V'의 노래로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본의 가수 - 미나미 하루오 미나미 하루오는 일본의 낭곡가이자 가수로, '국민 가수'로 불리며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했고, 보수적인 정치 활동과 "손님은 신이다"라는 발언으로도 알려졌으며, 만년에는 다양한 장르를 도입하고 저술 활동을 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일본의 가수 - 요코야마 레이나 일본 여성 아이돌 가수이자 배우인 요코야마 레이나는 모닝구무스메 13기 멤버로, 2016년 오디션 합격 후 라디오 진행, 사진집 발매, 방송 및 무대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일본어 가수 - 센 마사오 센 마사오는 1965년 데뷔하여 '북국의 봄' 등 히트곡으로 일본 대표 엔카 가수로 성장했으며, 부동산 사업으로 성공했으나 버블 붕괴 후 가수 활동에 복귀, NHK 홍백가합전에 16회 출연했다.
일본어 가수 - 하시모토 사토시 하시모토 사토시는 1989년 극단 ☆신감선에서 데뷔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치다 1997년 퇴단 후 드라마, 영화, 뮤지컬 배우 및 성우로 활동하며, 특히 뮤지컬 "미스 사이공", "레 미제라블" 등에서 주역을 맡아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았고 2023년 9월 소속사를 퇴사 후 개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가나가와현 출신 - 아카마츠 켄 아카마츠 켄은 《아이러브 서티》, 《러브히나》, 《마법선생 네기마!》 등의 미소녀 러브 코미디 만화로 유명한 일본의 만화가이자, 2022년 참의원 의원 당선 후 표현의 자유 옹호와 저작권 보호 등의 활동을 하는 정치인이다.
가나가와현 출신 - 사쿠마 유이 사쿠마 유이는 2013년 모델로 데뷔하여 2014년 배우로 데뷔 후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아야노 고와 결혼하여 2024년 첫 아이를 출산한 일본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호리에 미츠코는 1969년 '홍삼사(紅三四郎)'의 주제가로 데뷔하여, '애니송의 여왕'으로 불릴 만큼 많은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불렀다.[18] 1976년 캔디 캔디의 주제가를 불러 큰 인기를 얻었고, 1979년 꽃의 아이 룬룬의 주제가도 히트하며, 이후에도 다수의 작품에서 주제가와 삽입곡을 담당하게 되었다.
1980년 이후에는 앨범 『IMAGE』를 시작으로 오리지널 곡으로 LP 레코드를 몇 장 발표했으며, 다른 가수에 곡을 제공하기도 했다. 50세가 된 후에도 1선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바람의 소녀 에밀리』의 주제가를 담당했다.
호리에 미츠코는 캔디 캔디처럼 팝적인 미디엄 템포의 곡뿐만 아니라, "뒤돌아보면 Danger!"와 같이 파워풀한 성량을 살린 록풍의 하드한 곡이나, "페페로의 모험"처럼 저음을 강조한 웅장한 곡 등 폭넓은 장르를 소화한다.[2] 또한 해외로 수출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현지어로 더빙하기도 했다.[2] 『초전자 머신 볼테스V』에서는 여성 최초로 로봇 애니메이션 주제가의 메인 보컬을 맡았으며,[18] 특촬 장르에서도 사사키 이사오, 미즈키 이치로 등과 듀엣으로 주제가를 담당했다.
1999년필리핀에서는 '볼테스 V의 노래'가 1978년 첫 방송 이후 1999년 재방송되며 2세대에 걸쳐 큰 인기를 얻어 3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 CD는 8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9] 호리에 미츠코는 자선 행사로 필리핀을 방문했을 때 국빈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9]
현재도 "애니송 여자부"의 부장으로서 애니메이션 송을 널리 알리려고 활동하고 있다.
2. 1. 대표곡
호리에 미츠코는 다양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불렀으며, 대표적인 곡으로는 들장미 소녀 캔디, 개구리 왕눈이, 키다리 아저씨 등이 있다. 특히, 들장미 소녀 캔디는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어 호리에 미츠코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볼테스 V의 주제가인 '볼테스 V의 노래'는 여성이 처음으로 로봇 애니메이션 주제가의 메인 보컬을 맡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18]
그 외에도 『짐 버튼』, 『캔디♥캔디』, 『마법소녀 라라벨』, 『꽃의 아이 룬룬』, 『헬로! 샌디벨』 등 주제가·삽입가 LP의 거의 전곡을 호리에가 부른 경우가 많다.
2. 2. 1. 오리지널 앨범
순서
발매일
제목
규격품번
1
1980년 11월 25일
EMOTION
CX-7006
2
1981년 8월 25일
IMAGE
CX-7027
3
1982년 6월 21일
Ready MADONNA
AF-7128
4
1983년 1월 21일
Weekend
AF-7176
5
1983년 7월 21일
솔직해질 수 없어서
AH-356
6
1985년 2월 21일
Live in Egg-man
AF-7344
7
1986년 2월 21일
IN MY HEART
AF-7414
8
1986년 12월 1일
SING IT!
33CA-1290
2. 2. 2. 베스트 앨범
Vol.2:48HC-352
12
1993년 10월 21일
MITSUKO HORIE ORIGINAL BEST ALBUM
COCC-11007
13
1995년 8월 19일
호리에 미츠코 Best & Best
COCC-12813/4
14
1996년 6월 21일
호리에 미츠코 ~하트풀 콘서트~
COCC-13490/1
15
1997년 11월 21일
회귀 골동품 음악 상자
COCC-14590
16
1999년 6월 19일
호리에 미츠코 30th Anniversary MICCHI 100% 〜내일이 좋아〜
COCX-30415/7
17
2004년 10월 20일
마음의 노래 〜치유의 노래〜 호리에 미츠코 BEST
COCX-32945
18
2009년 3월 4일
MITSUKO HORIE 40th ANNIVERSARY BEST
COCX-35373
19
2009년 12월 29일
40th Anniversary 〜밋치의 독백 클럽 2009〜
COZX-413/4
20
2010년 3월 17일
MITSUKO HORIE 40th Anniversary 〜Encore〜
COZX-429/30
21
2014년 11월 19일
호리에 미츠코 레어 그루브 트랙스
COCX-38855
22
2015년 4월 1일
베스트 오브 베스트 호리에 미츠코
COCX-39014
23
2019년 4월 24일
헤이세이의 호리에 미츠코
COCX-40748
24
2020년 2월 12일
데뷔 50주년 기념 베스트 앨범 "One Girl BEST"
COCX-41055/6
2. 3. 해외 활동
호리에 미츠코는 해외로 수출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현지어로 더빙하여 부른 예가 있다.[2]1999년에는 필리핀에서 '볼테스 V의 노래'가 큰 인기를 얻어, 현지 자선 행사에 초청받기도 했다.[9] 당시 필리핀에서는 1978년 첫 방송 이후 1999년 1월부터 재방송을 하며 2세대에 걸친 지지를 받아 3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고, CD는 8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9] 호리에 미츠코는 필리핀 방문 당시 국빈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9]
3. 성우 활동
호리에 미츠코는 1978년 우주마신 다이켄고의 클레오 역으로 성우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세일러 스타즈의 갤럭시아, 초인 로크 - 로드레온의 플로라, 사이버시티 오에도 808의 오쿄, 비밀의 앗코쨩의 앗코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다.
1986년에는 사랑 소녀 폴리아나 이야기에서 폴리아나 휘티어, 1988년에는 비밀의 앗코짱에서 앗코, 1986년부터 1989년까지는 세인트 세이야에서 폴라리스 힐다 역을 맡았다. 1990년에는 키다리 아저씨의 주디 애벗,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레미, 아무도 모르는 소녀의 레미, 세일러 갤럭시아 역을 연기했다.
그 외에도 그림 명작극장에서 내레이터, 빨간 두건, 공주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으며, 닥터 슬럼프 아라레의 오봇챠만, 드래곤볼의 우파, 미스터 드릴러 시리즈의 호리 스스무, 안나 호텐마이어, 푸치 등을 연기했다.
호리에 미츠코는 주로 귀여운 캐릭터를 연기했지만, 미소녀전사 세일러 문 세일러 스타즈의 갤럭시아와 같은 악역도 소화하며 연기 폭을 넓혔다.[23]
4. 기타 활동
호리에 미츠코는 가수 활동 외에도 배우, 라디오 DJ, 작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1968년 NHK 종합의 노래는 친구를 시작으로, 사이좋은 리듬(NHK 교육, 1972년), 토요 부인 쇼(NET 텔레비전, 1974년, 다카시마 타다오와 함께 사회), 어린이 축제! 정의의 히어로 총출연(NET 텔레비전, 1976년 7월 31일, 미즈키 이치로, 사사키 이사오와 함께 사회), 노래해! 고(NHK 교육, 1978년 · 1981년)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올스타 가족 대항 노래합전(후지 텔레비전, 1979년 7월 29일)에는 사사키 이사오, 미즈키 이치로, 오스기 쿠미코, 코오로기'73과 함께 출연했다.
1980년대 이후 렛츠고 영(NHK 종합, 1981년경), 퀴즈 더비(TBS), 퀴즈 타임 쇼크(TV 아사히, 1983년), TV 탐정단 SP (TBS 텔레비전, 2001년), 꽃의 주재원(아사히 방송), 한 장의 사진(후지 텔레비전), 뮤즈의 만찬(TV 도쿄), 후지야마 ☆ 스타(간사이 텔레비전, 2007년 5월 18일) 등 TV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2000년대 후반 제41회 추억의 멜로디(NHK 종합, 2009년 8월 22일), 레이디스 4(TV 도쿄, 2010년 9월 16일), 노래의 낙원(TV 도쿄, 2010년 10월 24일), 도레미파 원더랜드(NHK-BS2, 2010년 11월 6일), 월요일 프리미어! 『1만 명이 선택한 애니메이션 송 BEST20 & 그리운 명장면』 (TV 도쿄, 2011년 8월 15일, 사사키 이사오, 미즈키 이치로, 마에카와 요코, 이와사키 요시미 등과 함께 출연), BS 일본의 노래(NHK BS 프리미엄, 2012년 4월 15일), 칸쟈니의 구분∞(TV 아사히, 2012년 6월 9일), 카스페! "하모네프 스타 리그 연예인 아카펠라 선수권" (후지 텔레비전, 2012년 6월 12일)에 출연했다. 2022년에는 BS-TBS의 X년 후의 관계자들에 출연했다.
오늘밤도 대성황! 시부야 극락정(NHK 라디오 제1 2010년 12월 18일), 라디오 아사이치방(NHK 라디오 제1 2012년 8월 25일), 오! 선데이, 밋치와 아키라의 바닥 빠진 일요일 권총(닛폰 방송, 1979년경), 네모토 미오의 웰에이징 라이프(닛폰 방송 2011년 8월 8일, 8월 15일), 헬로 여기는 밋치 방송국(CBC 라디오 1979년 - 1991년), 라디오 코로짱 팩(라디오 간사이 2001년경), 밋치의 독백 클럽(MBS 라디오, 1977년 - 1991년), 내일이 좋아(버디 기획 제작 라디오 간사이 외 2007년), 오사키 키요시의 쇼와 가요에 푹 빠지다!(뮤직 버드 2022년 1월 1일 - 3월 26일), 애니송 아카데미(NHK-FM 2018년 9월 8일, 2020년 3월 28일, 5월 9일, 5월 16일) 등 라디오 프로그램에도 출연했다.
4. 1. 배우 활동
우주철인 쿄다인 (1976년 - 1977년, 마이니치 방송): 시라카와 에츠코 소위 (극중 노래도 담당)[1]
4. 2. 라디오 DJ
堀江 美都子|호리에 미츠코일본어는 MBS 영 타운 등 다수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DJ로 활동했다.
4. 3. 저서
ミッチのひとりごとクラブ―堀江美都子エッセイ集|밋치의 독백(혼잣말) 클럽 - 호리에 미츠코 에세이집일본어 (1981년)
5. 한국과의 관계
호리에 미츠코는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은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불렀다. 특히 들장미 소녀 캔디와 개구리 왕눈이는 한국에서도 더빙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18]
호리에 미츠코의 노래는 한국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한일 문화 교류에도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에서는 호리에 미츠코의 노래가 담고 있는 보편적인 가치와 긍정적인 메시지에 주목하며, 그녀의 예술적 성취를 높이 평가한다.
6. 평가 및 영향
호리에 미츠코는 1969년 가수 데뷔 이래, "'''애니송의 여왕'''", "'''애니송계의 프린세스'''"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일본 애니메이션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사키 이사오, 미즈키 이치로, 오스기 쿠미코 등과 함께 "'''애니송 사천왕'''"으로 불리기도 한다.[18]
그녀가 부른 곡들은 캔디 캔디처럼 밝고 경쾌한 노래부터, "뒤돌아보면 Danger!"처럼 파워풀한 록 스타일, "페페로의 모험"처럼 웅장한 노래까지 다양하다. 또한, 해외로 수출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현지 언어로 직접 부르기도 했다. 『초전자 머신 볼테스V』에서는 여성 최초로 로봇 애니메이션 주제가의 메인 보컬을 맡기도 했다.[18]
호리에 미츠코는 애니메이션 주제가 외에도, 1980년대부터는 오리지널 곡으로 구성된 앨범을 발표하고, 다른 가수에게 곡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펼쳤다. 성우로도 활발히 활동하여, 『사랑해 나이트』, 『비밀의 아코짱』, 『나의 키다리 아저씨』 등에서는 주제가와 주연을 모두 맡기도 했다.[18]
특히, 1976년 캔디 캔디의 주제가는 엄청난 인기를 얻어, 호리에 미츠코를 스타덤에 올려놓았다. 이 노래는 너무 많은 사랑을 받은 나머지, 호리에 미츠코는 한때 "자신에게 최대의 라이벌"이라며 봉인하기도 했지만, 이후 "가수 호리에 미츠코"가 널리 인식되고 있음을 깨닫고 다시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18]
1999년에는 필리핀에서 '볼테스 V의 노래'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현지 자선 행사에서 국빈에 준하는 대우를 받기도 했다. 이처럼 호리에 미츠코의 노래는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으며 애니메이션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18]
호리에 미츠코의 '캔디 캔디'는 다른 음반사들이 애니메이션 송 전문 부서를 설립하고 프로모션에 힘쓰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일본 콜롬비아는 호리에를 미소라 히바리 다음으로 위대한 인물로 평가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